첫 기타를 사기 전에 항상 신경 쓰이는 것이 금액대이다. 정말 저렴한 기타도 있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고가의 기타도 존재한다. 그런데 본인이 기타를 처음 배우는 단계고 이전에 한 번도 경험해 본 적이 없으면, 브랜드를 떠나 10만 원에서 20만 원 사이에 형성된 기타를 사는 걸 추천한다.
온라인 보다 오프라인
차를 사기 전에도 마찬가지 보통 시승을 먼저 해보고 구입을 한다. 아무리 기타가 차 보다 저렴하다고 해서 쳐 보지도 않고 그냥 구매한다면 후회할 수도 있다. 요즘은 유튜브에 정보가 많이 올라오고 믿고 칠 수 있는 제품들이 많지만 되도록이면 가서 쳐보고 소리도 들어보고 자기 몸에 맞는 기타를 사는 걸 추천한다.
소리 구분
나도 처음에 기타를 고를 때 어떤 어떤 소리가 좋은지 나쁜지 구분을 하지 못했다. 블라인드 테스트를 한다면 전혀 모른다. 좋은 기타 소리를 찾는 것보다 자신에게 맞는 소리를 찾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단순하게 구분하면 철제질의 소리가 나오는 기타가 있고 나무 소리가 조금 더 많이 부각되는 기타가 있다. 개인적인 취향이니까 마음에 드는 소리를 찾아서 구입을 하면 된다. 아무리 비싼 기타를 사더라도 항상 더 마음에 드는 기타가 생기고 바꾸고 싶은 욕심은 계속 있다. 프로 기타리스트들은 기타 하나만 갖고 있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소리를 내고 싶어 여러 기타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처음에는 자신에게 맞는 소리에 기타를 구입하면 된다. 연습하다 보면 여러 영상들을 접하게 된다. 영상에 나오는 기타 소리가 더 좋다고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더 좋다고 생각하지 말고 소리가 다른 것이지 좋다고 무작정 판단할 필요 없다.
가격
위에서 언급한 데로 최소 10만 원 최대 20만 원에 형성되어 있는 기타를 구입을 하면 좋다. 지금까지 기타를 경험하면서 여러 가격대의 기타를 쳐봤지만 이 가격대의 기타들은 평균적인 소리를 내고 가격도 합리적인 것 같다. 10만 원 밑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타도 있지만 우쿠렐레가 아니면 왼만하면 추천하지 않는다.
픽업은 굳이 필요하지 않다
앰프에 꽂아 공연하려고 하지 않는 이상 픽업이 장착되어 있는 기타는 살 필요가 없다. 입문용 기타라 EQ까지 신경 쓰면서 기타를 칠 필요 없다. 그래도 이황 사는 거 픽업이 달려 있으면 좋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전혀 아니다. 정말 진심 전혀 필요 없다. 차라리 그 돈으로 어울리는 스트렙을 사는 것을 추천한다. 실력이 늘고 성과를 조금 자랑하고 싶을 때가 올 것이다. 그럴 때 픽업이 없으면 살짝 아쉬울 수 있다. 왜냐하면 픽업이 있으면 오디오인터페이스에 연결할 수 있고 녹음하기도 편하다. 그런데 그런 날은 그렇게 빨리 오지 않을 거다........... 그리고 자랑을 하기 위해 PC도 사야 하고 오디오인터페이스도 사야 하고 DAW도 사야 한다. 또 새로운 고민이 생길 것이고 기타는 멀어질 것이다.
약간 통이 작은 미니기타
바디가 작은 기타가 있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쳤을 때 몸에 딱 붙어 치기도 좋다. 브랜드가 유명한 제품들은 100만 원이 넘어가는 미니 기타도 있다. 그런데 대중적인 브랜드가 아닌 입문용 미니기타는 20만 원 밑으로 구매할 수 있다. 어차피 비슷한 금액대이면 그냥 큰 거 소리 크게 나는 기타를 사야지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우선적으로 기타를 쳤을 때 불편함을 느낀다면 기타 연습을 오랫동안 하지 않게 될 것이다. 미니기타로 유명한 영국가수 에드시런은 공연할 때 작은 기타를 메고 공연하다.
첫 기타를 살 때 너무 많이 알아보다 보면 많은 시간을 허비한다. 이럴 때 돈이 조금 있는 사람들은 그냥 유명한 기타를 결제한다. 이런 분들은 알고 있는 거다. 고르는 시간을 허비하느니 더 빨리 즐거운 시간을 가지려고 하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더 가성비 그리고 합리적으로 완벽하고 좋은 기타를 살지 고민하는 것은 좋은 것이다. 그래도 이황 시작하려고 마음먹었으면 바로 시작하는 것이 더 좋다고 본다.